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Quick Menu
뉴스레터 구독신청
인문행사 정보등록
이벤트 참여
2021-02-16
생활문화시설 인문프로그램 협업자에게 물었다!
나에게 인문 프로그램이란?! 그들이 만들고 이끌어 나가는 이 활동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함께 살펴볼까요?
2020년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원활한 프로그램 진행이 어려웠던 해였습니다.
하지만 이런 어려운 상황에서도, 프로그램을 이어가고 참여자와 소통하는 협업자들이 있기에
생활문화시설 인문프로그램은 성황리에 진행되고 있습니다.
능력을 발견하고, 확인하고, 펼쳐가는 수 많은 인문 협업자.
이들의 활동으로 우리의 생활 속 인문 열정이 더 끓어오르길 바랍니다.
앞으로 보여주실 많은 활동들을 응원합니다!
○ 출 처 :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블로그 '생활인문, 인문으로 살아가기' https://blog.naver.com/korea-humanist/222121151522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보유한 '나에게 인문프로그램이란? (1)'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단, 디자인 작품(이미지, 사진 등)의 경우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사오니 문의 후 이용 부탁드립니다.
댓글(0)
0 / 500 Byte
우리는 스스로를 조금 믿어보기로 했다
- 숨과 쉼, 사유 그리고 인문열차
권수영 교수 "분노하는 한국인, 서로 밀쳐내는 고슴도치 같다"
인간다움을 묻다 ② 권수영 교수
삶의 의미 묻는 순수예술, 예산지원 대폭 늘린다
인간다움을 묻다 ④ 유인촌 장관
인문학을 접할 때 뇌에서 일어나는 변화
시대가 묻고 인문이 답하다 ? 한덕현 교수
인문학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목소리는 우리 삶 곳곳에서 들을 수 있습니다 . 세계적 기업의 CEO 가 인문학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하고 , TV 속 연예인이 삶의 지침서로 철학책을 추천하기도 하죠 . 그런데 그들의 이야기를 가만히 듣고 있자면 이런 생각이 듭니다 . ‘ 그래서 인문학이
인문 사업 아카이브
나에게 인문프로그램이란? (1)
2021-02-16
생활문화시설 인문프로그램 협업자에게 물었다!
나에게 인문 프로그램이란?! 그들이 만들고 이끌어 나가는 이 활동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함께 살펴볼까요?
2020년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원활한 프로그램 진행이 어려웠던 해였습니다.
하지만 이런 어려운 상황에서도, 프로그램을 이어가고 참여자와 소통하는 협업자들이 있기에
생활문화시설 인문프로그램은 성황리에 진행되고 있습니다.
능력을 발견하고, 확인하고, 펼쳐가는 수 많은 인문 협업자.
이들의 활동으로 우리의 생활 속 인문 열정이 더 끓어오르길 바랍니다.
앞으로 보여주실 많은 활동들을 응원합니다!
○ 출 처 :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블로그 '생활인문, 인문으로 살아가기' https://blog.naver.com/korea-humanist/222121151522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보유한 '나에게 인문프로그램이란? (1)'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단, 디자인 작품(이미지, 사진 등)의 경우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사오니 문의 후 이용 부탁드립니다.
댓글(0)
2020년 청년 인문상상 영상 : 19개 단체
[인터뷰] 복합문화공간 작당 황제연 협업자 : 삶, N...
관련 콘텐츠
우리는 스스로를 조금 믿어보기로 했다
- 숨과 쉼, 사유 그리고 인문열차
권수영 교수 "분노하는 한국인, 서로 밀쳐내는 고슴도치 같다"
인간다움을 묻다 ② 권수영 교수
삶의 의미 묻는 순수예술, 예산지원 대폭 늘린다
인간다움을 묻다 ④ 유인촌 장관
인문학을 접할 때 뇌에서 일어나는 변화
시대가 묻고 인문이 답하다 ? 한덕현 교수
인문학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목소리는 우리 삶 곳곳에서 들을 수 있습니다 . 세계적 기업의 CEO 가 인문학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하고 , TV 속 연예인이 삶의 지침서로 철학책을 추천하기도 하죠 . 그런데 그들의 이야기를 가만히 듣고 있자면 이런 생각이 듭니다 . ‘ 그래서 인문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