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사회학 연구자 정은정의 밥과 노동, 사람과 세상의 이야기를 담은 에세이. 저자의 음식 이야기는 마음 뭉클하고 따뜻하지만 거기서 그치지 않는다. 맛집에 대한 정보는 없지만 조리 노동의 고단함과 자영업자들의 고통을 이야기한다. 유통업계의 성장을 떠받치고 있는 배달 노동의 현실을 비판하고, 한편으로는 청년 라이더들에게 헬멧을 꼭 쓰라 간곡히 부탁하기도 한다. 외국인 이주노동자에 기대어 먹고살면서도 끝내 그들을 동료 시민으로 여기지 않는 모순을 직시하자고 말한다. 학교급식이 멈춰 끼니를 놓치고 있는 청소년들에 대한 걱정도 담겨 있다. 밥을 벌다 목숨까지 잃는 세상에서 누군가는 더 맛있게 먹겠다 호들갑을 떠는 ‘먹방 사회’의 면구스러움을 숨기지 않는다. 과연 우리는 제대로 먹고 있는지, 한 번은 물어보자는 부탁을 한다.
『밥은 먹고 다니냐는 말』 책소개
부제목은 ‘농촌사회학자 정은정의 밥과 노동, 우리 시대에 관한 에세이.’ 먹을거리를 둘러싼 사회적 관계와 함께 농부, 외국인 노동자, 외식 자영업자, 배달노동자, 학교급식 노동자 등 그 관계를 이루는 이들이 처한 현실을 짚어 본다. 밥의 사회학이자 인류학이며 윤리학이다.
저자는 “우리가 먹는 밥을 위해 무게를 더 많이 지는 이들이 있음을 인정하는 것부터 시작”하자고 말한다. 우리가 음식을 먹기 위해 기다리는 짧은 순간이 농민, 요식업 종사자, 배달 기사 등의 직업을 가진 이들에게는 노동의 시간이 된다.
저자는 “사람과 자연 모두가 상처받은 밥상을 무람없이 받아 들고 입만 흥겹고 배만 두둑해진 것은 아닐까”라는 질문을 던진다. 우리의 ‘입만 흥겹고 배만 두둑해지는’ 가운데 농민이, 청년노동자가, 학교급식 영역 바깥 청소년들이 소외된다. 청년노동자가 산업재해로 목숨을 잃고, 누군가의 먹을거리를 생산해 온 이주노동자가 추위 속에 목숨을 잃는다.
“기름때 묻은 공구와 함께 발견된 구의역 김 군의 숟가락은 인간의 식사란 무엇인지를 되묻는다. 깨끗하게 닦인 수저로, 자리에 앉아 여유 있게 먹는 밥을 인간의 식사라 한다면, 김 군은 안전문 수리를 하면서 제대로 식사를 한 적이 몇 번이나 될까.”
저자는 자영업자들의 현실에 깊이 주목하고자 한다. 왜일까?
“코로나19의 광풍이 휩쓸고 지나가는 이 자리에서 가장 큰 고통을 겪고 있는 이들은 자영업자들이다. OECD 국가들 중에서 가장 많은 자영업자가 있는 한국은 인구의 4분의 1 정도가 근로는 하되 임금은 알아서 만들어 내야 하는 사람들이다. 그 고통의 심연에는 농촌의 고통이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는 확신 때문에 내게 자영업 문제는 농촌의 문제이다. 그래서 지겨우리만치 농촌·농업·농민 문제와 더불어 자영업자 문제에 천착, 아니 집착하며 글을 써 왔다.”
농촌사회학 연구자
1977년 충주에서 김장의 계절에 4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1983년 12월 서울로 올라와 서울의 끄트머리에서 자랐고, 20대 이후에는 여기저기 떠돌며 살아왔다. 지금은 부모님이 토마토 농사를 짓던 경기도 남양주시에서 살고 있다. 농촌·농업·농민의 일이 집안일이기도 하여, 사회학 중에서도 농촌사회학 공부에 뜻을 두었다.
『대한민국 치킨전』, 『아스팔트 위에 씨앗을 뿌리다 ? 백남기 농민 투쟁 기록』, 치킨집 배달 노동자가 주인공인 어린이 책 『그렇게 치킨이 된다』를 썼으며, 공저로 『질적 연구자 좌충우돌기』, 『코로나 팬데믹과 한국의 길』 등이 있다. 『한국생업기술사전』에 양돈과 양계 편을 집필했다. 농촌과 먹거리에 대해 신문에 쓰고, 라디오 방송들과 시사 팟캐스트 〈그것은 알기 싫다〉에서 말하고 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보유한 '밥은 먹고 다니냐는 말'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단, 디자인 작품(이미지, 사진 등)의 경우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사오니 문의 후 이용 부탁드립니다.
밥은 먹고 다니냐는 말
정은정
2021-11-04
정은정 지음/한티재/2021년/15,000원
농촌사회학 연구자 정은정의 밥과 노동, 사람과 세상의 이야기를 담은 에세이. 저자의 음식 이야기는 마음 뭉클하고 따뜻하지만 거기서 그치지 않는다. 맛집에 대한 정보는 없지만 조리 노동의 고단함과 자영업자들의 고통을 이야기한다. 유통업계의 성장을 떠받치고 있는 배달 노동의 현실을 비판하고, 한편으로는 청년 라이더들에게 헬멧을 꼭 쓰라 간곡히 부탁하기도 한다. 외국인 이주노동자에 기대어 먹고살면서도 끝내 그들을 동료 시민으로 여기지 않는 모순을 직시하자고 말한다. 학교급식이 멈춰 끼니를 놓치고 있는 청소년들에 대한 걱정도 담겨 있다. 밥을 벌다 목숨까지 잃는 세상에서 누군가는 더 맛있게 먹겠다 호들갑을 떠는 ‘먹방 사회’의 면구스러움을 숨기지 않는다. 과연 우리는 제대로 먹고 있는지, 한 번은 물어보자는 부탁을 한다.
『밥은 먹고 다니냐는 말』 책소개
부제목은 ‘농촌사회학자 정은정의 밥과 노동, 우리 시대에 관한 에세이.’ 먹을거리를 둘러싼 사회적 관계와 함께 농부, 외국인 노동자, 외식 자영업자, 배달노동자, 학교급식 노동자 등 그 관계를 이루는 이들이 처한 현실을 짚어 본다. 밥의 사회학이자 인류학이며 윤리학이다. 저자는 “우리가 먹는 밥을 위해 무게를 더 많이 지는 이들이 있음을 인정하는 것부터 시작”하자고 말한다. 우리가 음식을 먹기 위해 기다리는 짧은 순간이 농민, 요식업 종사자, 배달 기사 등의 직업을 가진 이들에게는 노동의 시간이 된다. 저자는 “사람과 자연 모두가 상처받은 밥상을 무람없이 받아 들고 입만 흥겹고 배만 두둑해진 것은 아닐까”라는 질문을 던진다. 우리의 ‘입만 흥겹고 배만 두둑해지는’ 가운데 농민이, 청년노동자가, 학교급식 영역 바깥 청소년들이 소외된다. 청년노동자가 산업재해로 목숨을 잃고, 누군가의 먹을거리를 생산해 온 이주노동자가 추위 속에 목숨을 잃는다. “기름때 묻은 공구와 함께 발견된 구의역 김 군의 숟가락은 인간의 식사란 무엇인지를 되묻는다. 깨끗하게 닦인 수저로, 자리에 앉아 여유 있게 먹는 밥을 인간의 식사라 한다면, 김 군은 안전문 수리를 하면서 제대로 식사를 한 적이 몇 번이나 될까.” 저자는 자영업자들의 현실에 깊이 주목하고자 한다. 왜일까? “코로나19의 광풍이 휩쓸고 지나가는 이 자리에서 가장 큰 고통을 겪고 있는 이들은 자영업자들이다. OECD 국가들 중에서 가장 많은 자영업자가 있는 한국은 인구의 4분의 1 정도가 근로는 하되 임금은 알아서 만들어 내야 하는 사람들이다. 그 고통의 심연에는 농촌의 고통이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는 확신 때문에 내게 자영업 문제는 농촌의 문제이다. 그래서 지겨우리만치 농촌·농업·농민 문제와 더불어 자영업자 문제에 천착, 아니 집착하며 글을 써 왔다.”
▶ 추천사: 표정훈, 평론가
■ 출처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책나눔위원회 2021 <11월의 추천도서>
■ URL https://www.readin.or.kr/home/bbs/20049/bbsPostList.do#none
농촌사회학 연구자
1977년 충주에서 김장의 계절에 4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1983년 12월 서울로 올라와 서울의 끄트머리에서 자랐고, 20대 이후에는 여기저기 떠돌며 살아왔다. 지금은 부모님이 토마토 농사를 짓던 경기도 남양주시에서 살고 있다. 농촌·농업·농민의 일이 집안일이기도 하여, 사회학 중에서도 농촌사회학 공부에 뜻을 두었다. 『대한민국 치킨전』, 『아스팔트 위에 씨앗을 뿌리다 ? 백남기 농민 투쟁 기록』, 치킨집 배달 노동자가 주인공인 어린이 책 『그렇게 치킨이 된다』를 썼으며, 공저로 『질적 연구자 좌충우돌기』, 『코로나 팬데믹과 한국의 길』 등이 있다. 『한국생업기술사전』에 양돈과 양계 편을 집필했다. 농촌과 먹거리에 대해 신문에 쓰고, 라디오 방송들과 시사 팟캐스트 〈그것은 알기 싫다〉에서 말하고 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보유한 '밥은 먹고 다니냐는 말'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단, 디자인 작품(이미지, 사진 등)의 경우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사오니 문의 후 이용 부탁드립니다.
댓글(0)
정치란 무엇인가?
함재봉
일기 日記
황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