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Quick Menu
뉴스레터 구독신청
인문행사 정보등록
이벤트 참여
2025-11-03
리듬위의 내 이야기
2025 길 위의 인문학 <평택시립지산초록 도서관> 담당자 인터뷰
▶ 프로그램 소개
삶의 이야기와 내면의 욕망을 자전적 에세이로 풀어내고, 이를 바탕으로 랩이나 노래로 표현하며
타인과 소통하고 자신을 돌아보는 창작 경험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 프로그램 현장
▲ 평택시립지산초록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 현장
▶ 담당자 인터뷰
Q1. 2025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을 기획하신 의도와 목표하신 바가 무엇인가요?
우리는 늘 삶의 주인공으로 살고 싶지만, 직장과 가정, 학교 등 다양한 상황에서 여러 가면을 쓰고 살아가다 보면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 어려운 순간이 많죠.
이 프로그램은 그런 이들에게 '쉼표' 같은 시간을 선물하고자 했어요. 가장 '나'답게 자신의 삶과 욕망을 내 목소리로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순간을 함께 나누고 싶었습니다.
Q2. <리듬 위의 내 이야기>를 운영하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가 있다면?
1부 에세이 쓰기 강의가 끝나고 2부 랩 강의 첫 시간, 랩 강사가 완성된 에세이를 라임에 맞춰 랩 가사로 바꾸는 방법과 가사에 어울리는 비트(리듬)을 고르는 방법을 설명하고 시범을 보여줬습니다.
16마디(1분 분량)의 랩 가사를 쓰고 내가 선택한 비트에 맞춰서 연습 해오라는 숙제도 내주고, 한 주가 지난뒤 다시 모인 수업에서 준비가 된 수강생이 한 명씩 선택한 비트에 맞춰서 랩을 하기 시작했어요.
자리에 있던 모든 수강생이 서로의 이야기에 집중하면서 두 명, 세 명, 네 명.. 시간이 지날수록 강의실은 콘서트장으로 변해갔죠. 글이 아닌 목소리로 음악과 함께 전달되는 각자의 진심이 담긴 이야기는 무척 매력적이었습니다.
매 순간이 기억에 남지만, 처음 자신의 이야기를 랩으로 뱉었을 때 화자의 해방감과 듣는 사람들의 열광적인 호응을 처음 본 순간이 가장 기억에 남아요.
Q3. 2025년 '길 위의 인문학' <리듬 위의 내 이야기>를 통해 전하고 싶은 메시지가 있나요?
'삶의 전환점이 필요한 순간'에는 주위의 시선과 체면은 내려두고 가장 '나'다운 시간을 갖는 것에 집중해보세요. 그러면 보이지 않던 색깔과 소리가 어느새 찾아올 거예요.
Q4. 올해 ‘길 위의 인문학’ 참여자들에게 전하고 싶은 이야기는 무엇인가요?
4개월간 진행한 길고 힘든 '에세이+랩' 이라는 낯선 여정에 동참해 주시고 아주 깊게 몰입하고 함께 즐겨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려요.
여러분들이 매주 변해가는 모습을 통해 내가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이 있을지 계속 고민하고 마지막 무대까지 준비한 시간이 정말 즐거웠어요.
저 역시 매주 여러분을 만나는 수요일 저녁이 기다려지는 시간이었답니다.
다시 낯설고 힘들지만 보람있는 프로그램으로 도서관에서 여러분들을 기다리고 있을게요! 또 만나요!
Q5. 나에게 '인문'이란?
나에게 '인문'은 나를 내 시점이 아닌 다른 관점으로 바라보게 하는 성찰의 도구입니다.
그런 과정을 통해 나와 다른 사람을 깊이 이해하게 되고, 서로 다른 사람들이 모여 함께 살아가는 사회를 더 따뜻하게 바라보는 성숙함을 길러주죠.
사업 소개
우리의 곁에 있는 문화시설에서 그리고 일상에서 만날 수 있는 직접 보고 듣고 느끼며 체험하는 인문프로그램
사업대상 전국민 주최·주관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의 바로가기
기관 소개
평택시립지산초록도서관은 자연과 어우러진 복합문화공간으로, 독서·문화·예술이 함께하는 지역 커뮤니티의 중심이며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시민의 삶에 문화적 활력을 불어넣고, 지역 작가와 예술인을 시민과 잇는 열린 문화 플랫폼 역할을 합니다.
문의 031-8024-7453 홈페이지 바로가기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보유한 '<평택시립지산초록 도서관> 담당자 인터뷰'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단, 디자인 작품(이미지, 사진 등)의 경우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사오니 문의 후 이용 부탁드립니다.
댓글(0)
0 / 500 Byte
인문 사업 아카이브
<평택시립지산초록 도서관> 담당자 인터뷰
2025-11-03
리듬위의 내 이야기
2025 길 위의 인문학 <평택시립지산초록 도서관> 담당자 인터뷰
▶ 프로그램 소개
삶의 이야기와 내면의 욕망을 자전적 에세이로 풀어내고, 이를 바탕으로 랩이나 노래로 표현하며
타인과 소통하고 자신을 돌아보는 창작 경험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 프로그램 현장
▲ 평택시립지산초록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 현장
▶ 담당자 인터뷰
Q1. 2025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을 기획하신 의도와 목표하신 바가 무엇인가요?
우리는 늘 삶의 주인공으로 살고 싶지만, 직장과 가정, 학교 등 다양한 상황에서 여러 가면을 쓰고 살아가다 보면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 어려운 순간이 많죠.
이 프로그램은 그런 이들에게 '쉼표' 같은 시간을 선물하고자 했어요. 가장 '나'답게 자신의 삶과 욕망을 내 목소리로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순간을 함께 나누고 싶었습니다.
Q2. <리듬 위의 내 이야기>를 운영하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가 있다면?
1부 에세이 쓰기 강의가 끝나고 2부 랩 강의 첫 시간, 랩 강사가 완성된 에세이를 라임에 맞춰 랩 가사로 바꾸는 방법과 가사에 어울리는 비트(리듬)을 고르는 방법을 설명하고 시범을 보여줬습니다.
16마디(1분 분량)의 랩 가사를 쓰고 내가 선택한 비트에 맞춰서 연습 해오라는 숙제도 내주고, 한 주가 지난뒤 다시 모인 수업에서 준비가 된 수강생이 한 명씩 선택한 비트에 맞춰서 랩을 하기 시작했어요.
자리에 있던 모든 수강생이 서로의 이야기에 집중하면서 두 명, 세 명, 네 명.. 시간이 지날수록 강의실은 콘서트장으로 변해갔죠. 글이 아닌 목소리로 음악과 함께 전달되는 각자의 진심이 담긴 이야기는 무척 매력적이었습니다.
매 순간이 기억에 남지만, 처음 자신의 이야기를 랩으로 뱉었을 때 화자의 해방감과 듣는 사람들의 열광적인 호응을 처음 본 순간이 가장 기억에 남아요.
Q3. 2025년 '길 위의 인문학' <리듬 위의 내 이야기>를 통해 전하고 싶은 메시지가 있나요?
'삶의 전환점이 필요한 순간'에는 주위의 시선과 체면은 내려두고 가장 '나'다운 시간을 갖는 것에 집중해보세요. 그러면 보이지 않던 색깔과 소리가 어느새 찾아올 거예요.
Q4. 올해 ‘길 위의 인문학’ 참여자들에게 전하고 싶은 이야기는 무엇인가요?
4개월간 진행한 길고 힘든 '에세이+랩' 이라는 낯선 여정에 동참해 주시고 아주 깊게 몰입하고 함께 즐겨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려요.
여러분들이 매주 변해가는 모습을 통해 내가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이 있을지 계속 고민하고 마지막 무대까지 준비한 시간이 정말 즐거웠어요.
저 역시 매주 여러분을 만나는 수요일 저녁이 기다려지는 시간이었답니다.
다시 낯설고 힘들지만 보람있는 프로그램으로 도서관에서 여러분들을 기다리고 있을게요! 또 만나요!
Q5. 나에게 '인문'이란?
나에게 '인문'은 나를 내 시점이 아닌 다른 관점으로 바라보게 하는 성찰의 도구입니다.
그런 과정을 통해 나와 다른 사람을 깊이 이해하게 되고, 서로 다른 사람들이 모여 함께 살아가는 사회를 더 따뜻하게 바라보는 성숙함을 길러주죠.
사업 소개
우리의 곁에 있는 문화시설에서 그리고 일상에서 만날 수 있는 직접 보고 듣고 느끼며 체험하는 인문프로그램
사업대상 전국민 주최·주관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의 바로가기
기관 소개
평택시립지산초록도서관은 자연과 어우러진 복합문화공간으로, 독서·문화·예술이 함께하는 지역 커뮤니티의 중심이며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시민의 삶에 문화적 활력을 불어넣고, 지역 작가와 예술인을 시민과 잇는 열린 문화 플랫폼 역할을 합니다.
문의 031-8024-7453 홈페이지 바로가기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보유한 '<평택시립지산초록 도서관> 담당자 인터뷰'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단, 디자인 작품(이미지, 사진 등)의 경우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사오니 문의 후 이용 부탁드립니다.
댓글(0)
<민주시민교육원 나락한알 > 담당자 인터뷰
<북울진도서관> 담당자 인터뷰
관련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