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인문360인문360

인문360

인문360˚

생각에 대한 생각 : 너의 의미

이성민

2017-06-19

친구란 공유하는 사이를 말한다.

내가 본 것을 같이 보고 내가 아는 것을 같이 아는 사람.

친구가 그걸 보지 못했다면 나는 친구에게 내가 본 것을 이야기할 것이다.

친구가 본 것을 내가 보지 못했을 때 친구 역시 그렇게 할 것이다.

만약 친구가 내게 거짓말을 한다면, 그리고 그 거짓말을 내가 알게 되었다면 나는 친구에게 화를 낼 것이다.

 

 

 

서로 알아봄의 기쁨

사람들은 서로를 어떻게 알아볼까? 나는 너를, 그리고 너는 나를 말이다. 아직은 그렇게 친하지 않지만 친해질 수도 있는 어떤 사람이 있다고 해보자. 그리고 그와 대화를 나누다 최근에 본 영화 이야기가 나왔다고 해보자. 실제로 나는 최근에 에릭 라티고 감독의 영화 <미라클 벨리에>를 무척이나 인상 깊고 즐겁게 보았다.

 

그런데 아직 나와 그렇게 친하지 않은 그 사람이 자기도 그 영화를 보았으며 아주 즐겁게 보았다고 말한다면, 더군다나 인상 깊었던 장면도 일치한다면, 나는 또 다시 기쁠 것이다. 그리고 나와 그는 서로를 반갑게 알아볼 것이다. 영화를 볼 때도 즐거웠지만, ‘나’를 기쁘게 만든 것이 ‘너’도 기쁘게 만들었다는 사실의 발견은 다시금 ‘나와 너’를 동시에 기쁘게 만들 것이다. 즉 ‘알아봄’의 기쁨. 그럴 경우 ‘나와 너’는 친구가 될 확률이 높아진다.



마주보고 있는 손바닥



취미 내지는 취향이 같을 때 우리는 곧바로 동류의식을 느낀다. 나는 <미라클 벨리에>가 여느 오락 영화와는 달리 참으로 아름다운 영화라고 생각했다. 나는 그런 생각을 하게 만드는 영화를 가끔 발견한다. 가령 카메론 크로우 감독의 <우리는 동물원을 샀다>나 테이트 테일러 감독의 <헬프>도 내게는 그런 경우다. 아름답다는 것은 자꾸 보고 싶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런 영화들은 영화 채널에서 다시 방영을 해도 다시 보게 되며, 처음 보았을 때의 기쁨을 다시 느끼게 된다. 왜냐하면 그곳에는 사람들이 살아가는 아름다운 모습들이 등장하기 때문이다. 사람들의 마음을 좀 더 거칠고 어둡게 만드는 영화들로 넘쳐나는 영화 세계에서 그런 영화를 발견하는 것은 흔한 일이 아니다.

 

 

나의 기쁨은 나의 것이어야 한다

알아봄의 기쁨을 좀 더 알아보자. 나는 ‘너도’ 그 영화를 보았고 나와 같은 방식으로 보았다는 것을 알고 기쁘다. 하지만 동일한 경험을 한 너의 편에서 그 ‘너도’는 바로 ‘나’를 가리킨다. 취미 일치의 발견으로 너와 나 사이에 없었던 통로가 생기는데, 그 통로를 통해 나는 나뿐만 아니라 너도 그렇다는 것을 알게 된다. 너뿐만 아니라 나도 그렇다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즉 영화를 즐겁게 본 사람이 그 누구도 아닌 ‘나’라는 것을.

 

 

'you' 그리고 'me' 가 적힌 컵

▲ 동류의식을 느낀 ‘너’와 ‘나’ 사이에는 전에 없던 통로가 생긴다. ©Hoffnungsschimmer

 

 

기쁨의 주체가 내가 아니라면 그게 다 무슨 소용이 있을까? 내가 느끼는 기쁨이 나의 것 같은 느낌이 들지 않는다면 아무리 큰 기쁨이라도 그게 다 무슨 소용이 있을까? 가령 내가 X를 사랑한다고 해보자. 나는 X도 나를 사랑하기를 원할 것이다. 나는 나에 대한 그 사랑에서 큰 기쁨을 느낄 것이다. 하지만 X가 내가 아닌 Y를 사랑한다고 해보자. 나는 그 사실에 절망할 것이고 어떻게 해서든 그 사랑이 나를 향하게 만들고 싶을 것이다. 그때 마법사가 나타나 나를 X의 사랑을 받는 Y로 만들어주겠다는 제안을 한다면 나는 그 제안을 받아들일까?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사랑을 받는 것은 결국은 내가 아니기 때문이다. 나는 기쁨이 나의 것이기를 원한다. 그렇지 않다면 다 소용이 없다. 

 

 

너가 있어야 나는 비로소 나의 것을 갖는다

친구란 공유하는 사이를 말한다. 내가 본 것을 같이 보고 내가 아는 것을 같이 아는 사람. 친구가 그걸 보지 못했다면 나는 친구에게 내가 본 것을 이야기할 것이다. 친구가 본 것을 내가 보지 못했을 때 친구 역시 그렇게 할 것이다. 만약 친구가 내게 거짓말을 한다면, 그리고 그 거짓말을 내가 알게 되었다면 나는 친구에게 화를 낼 것이다. 화를 내는 것보다 더 자연스러운 반응을 상상하기는 어렵다. 친구가 나를 생각해서 거짓말을 한 경우라도 말이다.

 

가령 친구가 불치병에 걸렸다고 해보자. 그 사실을 알게 되면 나는 친구를 걱정하게 될 것이고 슬퍼질 것이다. 친구는 내가 그럴 것임을 알고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나를 생각해서 병원에 가보았는데 큰 문제는 없다고 거짓말을 한 것이다. 그랬을 때 내가 그의 친구고 그가 나의 친구라면, 나는 여전히 화를 낼 것이다. 거짓말을 했다는 이유에서 말이다. 이럴 경우에도 내가 화를 내는 것은 부자연스러운 일이 아니다. 

 

친구라면 거짓말을 해서는 안 된다. 하지만 왜 친구끼리는 거짓말을 해서는 안 되는 것일까? 친구란 공유하는 사이를 말하기 때문이다. 내가 본 것을 친구가 볼 때, 나는 그것을 친구도 보았다는 것을 알게 될 뿐 아니라 나 또한 그것을 보았다는 것을 다시금 알게 된다. 왜냐하면 친구 역시 그것을 보았다는 것을 내가 안다면, 친구 역시 거꾸로 내가 그것을 보았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친구가 알고 있는 그것은 우정의 공통 통로를 통해 내게 전달된다. 다시 말해서, 내가 친구를 보면서 웃으면서 “너도!”라고 말할 때 그 친구도 나를 보면서 같은 표정으로 “너도!”라고 말한다. 친구가 있기에 우리는 혼자 즐겼던 것을 삶 속에서 함께 즐길 수 있다. ‘나의 것’은 홀로 즐길 때 생겨나는 게 아니라 친구가 옆에 있을 때 생겨난다. 너가 있어야 나는 비로소 나의 것을 갖는다. 바로 그것이 ‘너’의 의미다.

 

 

새끼손가락 걸고 있는 모습

 

 

불어에는 ‘Conscience’라는 낱말이 있다. 이 말은 오늘날 ‘의식’이라는 뜻과 ‘양심’이라는 뜻을 갖는 낱말이다. 그런데 이 말은 원래 ‘같이 봄’을 뜻하는 말이었다. 같이 본다는 말과 의식한다는 말은 같은 말이었다. 그렇다면 이 말은 또 왜 ‘양심’을 뜻하는 것일까? 나의 친구가 나와 같이 본 것을 보지 않았다고 거짓말을 할 때, 나와 친구가 같이 본 것을 친구가 부정할 때, 나는 그 친구에게 양심이 없다고 말할 것이다. 양심은 공동의 목격자다. 양심의 부정은 같이 본 것의 부정을 말한다. 양심이 사라지고 있다는 말은 친구도 우정도 사라지고 있다는 말이다. 즉, ‘너’의 의미가 사라지고 있다는 말이다. 알아도 내가 아는 것 같지 않을 때, 보아도 내가 보는 것 같지 않을 때, 살아도 내가 사는 것 같지 않을 때, 우리는 나의 의미가 아니라 너의 의미를 생각해야 한다.

 

 

철학자들

 

  • 6월
  • 나눔
  • 철학
  • 너의의미
  • 통로
  • 의식
  • 양심
  • 동류의식
  • 사회적인간
  • 호모소시올로지쿠스
필자 이성민
이성민

철학자. 서울대 영어교육학과를 졸업했으며, 중학교 영어교사로 재직하다가 교직을 접고 오랫동안 철학, 미학, 정신분석 등을 공부했다. 아이들이 친구들과 신나게 놀 수 있는 세상, 어른들이 동료들과 즐겁게 일할 수 있는 세상이 주된 관심사다. 저서로 『사랑과 연합』 『일상적인 것들의 철학』이 있으며, 번역한 책으로 슬라보예 지젝의 『까다로운 주체』를 비롯해 10여 권이 있다.

공공누리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보유한 '생각에 대한 생각 : 너의 의미 '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단, 디자인 작품(이미지, 사진 등)의 경우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사오니 문의 후 이용 부탁드립니다.

댓글(0)

0 / 500 Byte

관련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