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은 몇 살부터일까? 20세기에는 55세만 되어도 노인이라고 생각했다. 60세가 넘으면 환갑이라 하며 장수를 누린 것을 축하했다. 지금은 70세에 죽어도 너무 빨리 갔다고 생각한다. 80세를 넘기는 것은 일반적인 추세다. 인간의 수명은 획기적으로 늘어났다. 중세, 근대에는 40세만 넘어도 오래 사는 것이었다. 지금은 두 배를 훌쩍 넘긴다.
하지만 두 배의 수명만큼, 두 배의 즐거움과 행복을 느끼는 것일까? 대체로 장수는 축하할만한 일로 여겨졌지만 지금도 그럴까? 노후를 잘 준비한 이들에게 노인의 삶은 여유롭고 다채로울 수 있지만, 한국의 노인 빈곤율은 OECD 국가 중에서도 아주 높은 수준이다. 노후 준비가 취약하고, 제대로 일할 체력과 정신력이 없는 이들에게 노인의 시간이 길어진다는 것은 악몽이다. 인간의 수명이 늘어나며 인구가 증가하는 것은 지구와 자연에게도 대단히 힘든 일이다.
어떻게 행복한 노년을 얻을 수 있을 것인가. 필연적으로 닥치는 죽음에의 불안을 어떻게 이겨낼 것인가. 우리 사회는 초고령화 사회의 어둠을 어떻게 밝힐 수 있을까.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질문이다. 제대로 어른이 되는 것을 넘어 어떻게 행복한 노년으로 살아갈 수 있는지, 깊이 생각해보자.
*'영원히 살 수 있다면 행복할까?'는 2023 인문정신문화 온라인서비스 특집 큐레이션 '인간다움'의 첫 번째 테마로, 생물적 존재인 인간(호모 비올로기쿠스 Homo Biologicus)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영원히 살 수 있다면 행복할까?
삶의 의미, 그리고 행복에 대하여
노년과 죽음, 그리고 행복
어른이 되는 것을 넘어, 행복한 노년이 되는 것
노인은 몇 살부터일까? 20세기에는 55세만 되어도 노인이라고 생각했다. 60세가 넘으면 환갑이라 하며 장수를 누린 것을 축하했다. 지금은 70세에 죽어도 너무 빨리 갔다고 생각한다. 80세를 넘기는 것은 일반적인 추세다. 인간의 수명은 획기적으로 늘어났다. 중세, 근대에는 40세만 넘어도 오래 사는 것이었다. 지금은 두 배를 훌쩍 넘긴다.
하지만 두 배의 수명만큼, 두 배의 즐거움과 행복을 느끼는 것일까? 대체로 장수는 축하할만한 일로 여겨졌지만 지금도 그럴까? 노후를 잘 준비한 이들에게 노인의 삶은 여유롭고 다채로울 수 있지만, 한국의 노인 빈곤율은 OECD 국가 중에서도 아주 높은 수준이다. 노후 준비가 취약하고, 제대로 일할 체력과 정신력이 없는 이들에게 노인의 시간이 길어진다는 것은 악몽이다. 인간의 수명이 늘어나며 인구가 증가하는 것은 지구와 자연에게도 대단히 힘든 일이다.
어떻게 행복한 노년을 얻을 수 있을 것인가. 필연적으로 닥치는 죽음에의 불안을 어떻게 이겨낼 것인가. 우리 사회는 초고령화 사회의 어둠을 어떻게 밝힐 수 있을까.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질문이다. 제대로 어른이 되는 것을 넘어 어떻게 행복한 노년으로 살아갈 수 있는지, 깊이 생각해보자.
*'영원히 살 수 있다면 행복할까?'는 2023 인문정신문화 온라인서비스 특집 큐레이션 '인간다움'의 첫 번째 테마로, 생물적 존재인 인간(호모 비올로기쿠스 Homo Biologicus)에서 비롯되었습니다.
[기획이슈] 인간다움에 대하여
[찾아가는 인생나눔교실] 한국문해교육협회 춘천지부 봄내배움터 (최인순 멘토)
인생나눔교실
죽음을 기억하라... 그리고 삶도
홍준기
죽음의 기술(Ars moriendi)
노태맹
축복이 아닌 저주일지라, 불멸의 매혹
박병성
의존이 아닌 자기존중과 책임감 있는 인생을 향하여
박진아
장수와 행복한 노년
박재용
스스로 움직이는 자동사의 삶, 문학평론가 고영직
김연수
유병장수 시대... 죽음의 결정권은 스스로 가져야
김경집
개인의 수명을 누가 결정할 것인가?
이정모
노인 이야기 들어주는 청년예술가 프로젝트
2019-12-25
정읍 실버작은도서관
2019-09-11
할아버지와 손자의 대화
2019-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