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는 지금 온통 분홍과 노랑, 빨강의 꽃섬입니다. 하지만 화려한 꽃섬의 4월은 마냥 봄빛을 즐길 수 없습니다. 초록 쑥 위로 떨어진 빨간 동백꽃은 꽃섬의 아픈 기억을 더욱 또렷이 보여주는 듯합니다. 그렇게 봄날, 북촌 너븐숭이 4.3 기념관을 찾아갑니다. 북촌 너븐숭이 4.3기념관은 제주 4.3 제 61주기를 앞둔 지난 2009년 3월 31일에 개관하였습니다. 너븐숭이는 “널찍한 돌밭”이라는 의미의 제주어지요. 그 곳에서는 어떤 기억을 만나게 될까요? 이곳이 제주도 대표 작가 현기영 님의 <순이삼촌>의 배경이 되는 곳이라고 하여 책도 한 쪽 옆구리에 끼고 출발합니다.
기억을 읽다, 내부전시관
일주도로를 달려 아담한 너븐숭이 4.3 기념관을 마주합니다. 소박한 모습에 마음이 짠해집니다. 기념관 안에 들어서니 해설사 분께서 반갑게 맞이해 주십니다. 언제든지 미리 방문 시간을 알려주면 해설사 분의 꼼꼼한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시청각실에서 짧은 동영상을 먼저 관람합니다. 1947년 3.1운동 기념식의 경찰 발포 사건으로 시작되어 1954년 9월 21일 한라산 금족지역이 전면 개방될 때까지 수많은 주민들의 희생이 이루어진 제주 4.3 사건의 한가운데, 최대 피해 마을의 하나인 북촌의 모습이 보는 내내 마음을 저리게 합니다. 4.3 사건 희생자 유족이기도 하신 해설사 분의 진솔한 설명이 더욱 마음에 와 닿습니다.
▲ 소박하게 들어앉은 북촌 너븐숭이 4.3 기념관 ⓒ성기낭
그리고 옮겨 간 내부 전시 공간 <너븐숭이의 기억>.
당시 희생된 443명의 이름이 빼곡히 적혀 걸려있습니다. 희생자의 나이 2세, 3세... 유독 어린 아이들의 희생이 많았습니다. “평화와 상생의 꽃으로 피어나소서”라는 글귀가 아프게 다가옵니다. 전시관 입구에 자리 잡은 강요배 화백의 <젖먹이> 작품이 당시 실화를 그림으로 옮겼다는 이야기에 발길을 떼지 못합니다.
▲ 그 날의 기억, 강요배 화백의 <젖먹이> ⓒ성기낭
전시관에는 1947년 8월 13일 삐라 사건을 시작으로 1949년 1월 17일에 자행된 북촌리 주민 대학살과 그 날 희생된 주민들을 위해 묵념을 했다는 이유로 침묵을 강요당했던 1954년의 “아이고 사건”까지 믿기지 않는 역사를 소개합니다.
▲ 북촌리 대학살 설명 ⓒ성기낭
옆으로는 북촌 학살 사건을 배경으로 한 현기영 작가의 <순이삼촌>을 소개하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제주의 4,3 사건을 말하려 하면 으레 “속솜허라”(‘조용히 해라’의 제주어) 하며 아무도 말 못하던 시절, 현기영 작가는 <순이삼촌>으로 아픈 역사를 세상에 드러냈습니다.
금기를 깬 작가 개인의 고초도 있었지만 그 날 희생된 많은 <순이삼촌>에 대한 남은 자들의 침묵도 함께 깰 수 있게 한 작품이지요. 전시관 내부 창살에 갇힌 유난히 붉은 동백꽃이 홀로 빛을 냅니다.
▲ 현기영 작가와 소설 <순이삼촌> 소개 ⓒ성기낭
기억이 머물다, 야외 전시관
야외 전시관으로 발길을 옮깁니다. 오래도록 우리의 발길을 잡아끈 곳은 애기무덤.
작은 돌무덤인 애기무덤이 너븐숭이의 아픔을 그대로 전해줍니다. 무덤가에 핀 분홍 들꽃이 잔망스럽게 흔들립니다. 이곳을 찾는 사람들의 마음이 하나하나 돌탑이 되어 어린 영혼을 위로합니다. 장난감과 사탕과 인형이 돌탑 사이 바람과 술래잡기를 합니다.
애기무덤 옆으로 조금 내려오면 옴팡밭(오목하게 쏙 들어가 있는 밭)에서 ‘순이삼촌비’와 방사탑을 만나게 됩니다. 이리저리 아무렇게나 놓여진 비석들은 그 날 그렇게 스러져 간 희생자들을 보는 듯합니다. 비석마다 들어앉은 소설 속 이야기가 희생자들이 되어 다시 일어섭니다. 잃어버린 기억을 되살려 역사와 더불어 나아감을 의미하는 순이삼촌비와 다시는 제주 4.3과 같은 액운이 일어나지 않기를 기원하는 주민들의 마음으로 이루어진 방사탑에 간절함이 묻어납니다.
▲ 꽃과 바람이 놀아주는 애기무덤 ⓒ성기낭
▲ 소설 구절이 쓰여진 순이삼촌비 ⓒ성기낭
먹먹해진 마음을 위로하는 듯한 푸른 바다, 그 바다가 내다보이는 곳에 위령비와 각명비가 우뚝 서 있습니다. 그 날도 저 바다는 한껏 푸르렀겠지요? 명절처럼 한 날 한 시 제사를 지내는 북촌 주민들의 오늘은 여전히 아픈 역사의 진행입니다.
▲ 바다를 내달리고 싶었을 그날의 사람들, 위령비와 각명비 ⓒ성기낭
너븐숭이 4.3 기념관과 함께 주변의 유적지들을 이어 북촌마을 4.3길을 열어 둘러볼 수 있습니다. 이 곳 뿐만 아니라 제주 안덕 동광마을 4.3길, 제주 남원 의귀마을 4.3길이 조성되어 아픈 역사의 기억을 이어가고 있지요.
생기 넘치게 빛나는 제주의 봄빛 속에 때때로 찾아오는 저릿저릿한 아픔을 함께 돌아보는 것도 충분히 의미 있는 일이겠지요? 문학과 역사가 함께 하는 마을 북촌, 더 많은 이들이 북촌의 아픔을 함께 기억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요?
아이들과 책으로 만나며 동화에 나옴직한 캐릭터 연구에 홀로 낄낄거리길 즐긴다. 언젠가 이 캐릭터들이 이야기 속을 휘저을 주인공이 될 수 있을까 기대하고 또 의심하기를 반복한다. 책의 어느 한 지점, 아이들과 함께 빵 터지는 그 유쾌한 순간의 행복감에 아이들 곁을 떠나지 못하고 서성이는 호기심 많은 어른이다. 뒤늦게인문에 스며든 호기심을 한껏 채울 수 있는 한 해가 되기를 기대한다.
댓글(0)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보유한 '기억의 섬, 문학과 역사가 만나다'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단, 디자인 작품(이미지, 사진 등)의 경우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사오니 문의 후 이용 부탁드립니다.
기억의 섬, 문학과 역사가 만나다
북촌 너븐숭이 4.3 기념관
인문쟁이 성기낭
2019-05-29
제주는 지금 온통 분홍과 노랑, 빨강의 꽃섬입니다. 하지만 화려한 꽃섬의 4월은 마냥 봄빛을 즐길 수 없습니다. 초록 쑥 위로 떨어진 빨간 동백꽃은 꽃섬의 아픈 기억을 더욱 또렷이 보여주는 듯합니다. 그렇게 봄날, 북촌 너븐숭이 4.3 기념관을 찾아갑니다. 북촌 너븐숭이 4.3기념관은 제주 4.3 제 61주기를 앞둔 지난 2009년 3월 31일에 개관하였습니다. 너븐숭이는 “널찍한 돌밭”이라는 의미의 제주어지요. 그 곳에서는 어떤 기억을 만나게 될까요? 이곳이 제주도 대표 작가 현기영 님의 <순이삼촌>의 배경이 되는 곳이라고 하여 책도 한 쪽 옆구리에 끼고 출발합니다.
기억을 읽다, 내부전시관
일주도로를 달려 아담한 너븐숭이 4.3 기념관을 마주합니다. 소박한 모습에 마음이 짠해집니다. 기념관 안에 들어서니 해설사 분께서 반갑게 맞이해 주십니다. 언제든지 미리 방문 시간을 알려주면 해설사 분의 꼼꼼한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시청각실에서 짧은 동영상을 먼저 관람합니다. 1947년 3.1운동 기념식의 경찰 발포 사건으로 시작되어 1954년 9월 21일 한라산 금족지역이 전면 개방될 때까지 수많은 주민들의 희생이 이루어진 제주 4.3 사건의 한가운데, 최대 피해 마을의 하나인 북촌의 모습이 보는 내내 마음을 저리게 합니다. 4.3 사건 희생자 유족이기도 하신 해설사 분의 진솔한 설명이 더욱 마음에 와 닿습니다.
▲ 소박하게 들어앉은 북촌 너븐숭이 4.3 기념관 ⓒ성기낭
그리고 옮겨 간 내부 전시 공간 <너븐숭이의 기억>.
당시 희생된 443명의 이름이 빼곡히 적혀 걸려있습니다. 희생자의 나이 2세, 3세... 유독 어린 아이들의 희생이 많았습니다. “평화와 상생의 꽃으로 피어나소서”라는 글귀가 아프게 다가옵니다. 전시관 입구에 자리 잡은 강요배 화백의 <젖먹이> 작품이 당시 실화를 그림으로 옮겼다는 이야기에 발길을 떼지 못합니다.
▲ 그 날의 기억, 강요배 화백의 <젖먹이> ⓒ성기낭
전시관에는 1947년 8월 13일 삐라 사건을 시작으로 1949년 1월 17일에 자행된 북촌리 주민 대학살과 그 날 희생된 주민들을 위해 묵념을 했다는 이유로 침묵을 강요당했던 1954년의 “아이고 사건”까지 믿기지 않는 역사를 소개합니다.
▲ 북촌리 대학살 설명 ⓒ성기낭
옆으로는 북촌 학살 사건을 배경으로 한 현기영 작가의 <순이삼촌>을 소개하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제주의 4,3 사건을 말하려 하면 으레 “속솜허라”(‘조용히 해라’의 제주어) 하며 아무도 말 못하던 시절, 현기영 작가는 <순이삼촌>으로 아픈 역사를 세상에 드러냈습니다.
금기를 깬 작가 개인의 고초도 있었지만 그 날 희생된 많은 <순이삼촌>에 대한 남은 자들의 침묵도 함께 깰 수 있게 한 작품이지요. 전시관 내부 창살에 갇힌 유난히 붉은 동백꽃이 홀로 빛을 냅니다.
▲ 현기영 작가와 소설 <순이삼촌> 소개 ⓒ성기낭
기억이 머물다, 야외 전시관
야외 전시관으로 발길을 옮깁니다. 오래도록 우리의 발길을 잡아끈 곳은 애기무덤.
작은 돌무덤인 애기무덤이 너븐숭이의 아픔을 그대로 전해줍니다. 무덤가에 핀 분홍 들꽃이 잔망스럽게 흔들립니다. 이곳을 찾는 사람들의 마음이 하나하나 돌탑이 되어 어린 영혼을 위로합니다. 장난감과 사탕과 인형이 돌탑 사이 바람과 술래잡기를 합니다.
애기무덤 옆으로 조금 내려오면 옴팡밭(오목하게 쏙 들어가 있는 밭)에서 ‘순이삼촌비’와 방사탑을 만나게 됩니다. 이리저리 아무렇게나 놓여진 비석들은 그 날 그렇게 스러져 간 희생자들을 보는 듯합니다. 비석마다 들어앉은 소설 속 이야기가 희생자들이 되어 다시 일어섭니다. 잃어버린 기억을 되살려 역사와 더불어 나아감을 의미하는 순이삼촌비와 다시는 제주 4.3과 같은 액운이 일어나지 않기를 기원하는 주민들의 마음으로 이루어진 방사탑에 간절함이 묻어납니다.
▲ 꽃과 바람이 놀아주는 애기무덤 ⓒ성기낭
▲ 소설 구절이 쓰여진 순이삼촌비 ⓒ성기낭
먹먹해진 마음을 위로하는 듯한 푸른 바다, 그 바다가 내다보이는 곳에 위령비와 각명비가 우뚝 서 있습니다. 그 날도 저 바다는 한껏 푸르렀겠지요? 명절처럼 한 날 한 시 제사를 지내는 북촌 주민들의 오늘은 여전히 아픈 역사의 진행입니다.
▲ 바다를 내달리고 싶었을 그날의 사람들, 위령비와 각명비 ⓒ성기낭
너븐숭이 4.3 기념관과 함께 주변의 유적지들을 이어 북촌마을 4.3길을 열어 둘러볼 수 있습니다. 이 곳 뿐만 아니라 제주 안덕 동광마을 4.3길, 제주 남원 의귀마을 4.3길이 조성되어 아픈 역사의 기억을 이어가고 있지요.
생기 넘치게 빛나는 제주의 봄빛 속에 때때로 찾아오는 저릿저릿한 아픔을 함께 돌아보는 것도 충분히 의미 있는 일이겠지요? 문학과 역사가 함께 하는 마을 북촌, 더 많은 이들이 북촌의 아픔을 함께 기억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요?
○ 공간 정보
주소 : 제주시 조천읍 북촌3길 3 너븐숭이4.3기념관
전화번호 : 064-783-4303
운영시간 : 9:00 ~ 18:00
관람료 : 무료
○ 관련 링크
홈페이지 : http://bitly.kr/lRZk0L
○ 사진 촬영_성기낭
장소 정보
2019 [인문쟁이 5기]
아이들과 책으로 만나며 동화에 나옴직한 캐릭터 연구에 홀로 낄낄거리길 즐긴다. 언젠가 이 캐릭터들이 이야기 속을 휘저을 주인공이 될 수 있을까 기대하고 또 의심하기를 반복한다. 책의 어느 한 지점, 아이들과 함께 빵 터지는 그 유쾌한 순간의 행복감에 아이들 곁을 떠나지 못하고 서성이는 호기심 많은 어른이다. 뒤늦게인문에 스며든 호기심을 한껏 채울 수 있는 한 해가 되기를 기대한다.댓글(0)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보유한 '기억의 섬, 문학과 역사가 만나다'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단, 디자인 작품(이미지, 사진 등)의 경우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사오니 문의 후 이용 부탁드립니다.
일상의 빈틈, 서툰 책방
인문쟁이 백도영
혐오의 시대에 맞서는 우리의 자세
인문쟁이 전용언
관련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