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인문360인문360

인문360

인문360˚

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 ‘기형도문학관’

인문쟁이 한초아

2018-04-19

시인 기형도를 처음 접한 건 수능 문제집을 통해서였다. 


❝열무 삼십 단을 이고

시장에 간 우리 엄마

안 오시네 해는 시든지 오래

나는 찬밥처럼 방에 담겨

아무리 천천히 숙제를 해도

엄마 안 오시네 배추잎같은 발소리 타박타박….❞ 


열무 삼십 단을 무겁게 이고 시장을 나선 엄마. 그런 엄마를 향한 애틋한 마음을 써 내려간 시, <엄마걱정>


기형도 엄마 걱정

▲ 기형도 엄마 걱정


기형도, 그의 ‘청춘’을 기록하다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에 위치한 ‘기형도 문학관’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에 위치한 ‘기형도 문학관’


쓸쓸하고 애잔하며, 우울하며 외로운…. 기형도의 시를 읽고 떠올렸던 이미지들이다. 내면 깊이 침잠된 어두움과 쓸쓸함. 그의 시에서 묻어나오는 슬픔과 외로움은 ‘겨울’이라는 계절과 참 많이도 닮았다. 그래서일까. 겨울이 되면, 유독 시인 기형도가 떠오른다. 『입 속의 검은 잎』을 권했던 친구의 손길도, 밑줄을 그었던 <빈집>과 <질투는 나의 힘>의 한 구절도, 모두 이 쓸쓸한 계절로 수렴한다. 


시인 기형도와 그의 작품 빈집

▲ 시인 기형도와 그의 작품 빈집


푸르른 나이에 세상을 떠난 시인은 우리 가슴 속 영원한 ‘별’이 되었다. 그는 떠났지만 여전히 사랑받는 시인으로 존재하며, 유고시집 『입 속의 검은 잎』 역시 뜨거웠던 청춘의 흔적으로 남아 우리와 함께하고 있다. ‘기형도 문학관’은 영원한 청춘으로 남은, 시인 기형도를 기억하는 공간이다.


기획전시 ‘사진으로 보는 기형도’

▲ 기획전시 ‘사진으로 보는 기형도’


시인의 고향인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에 위치한 ‘기형도 문학관’은 유년기와 학창시절을 거쳐, 청년기를 보냈던 시인의 발길 위에 존재한다. 시인이 걷던 거리와 눈길이 닿았던 ‘샛강’은 그의 작품 속 소재로, 또 ‘기형도 문학관’이라는 공간 안에서 함께 호흡한다. <엄마 걱정> 속 ‘열무 삼십 단’을 이고 갔던 광명시의 한 시장과 <안개>의 배경이 된 안개 낀 ‘샛강’은 시인의 집 근처였던 ‘안양천’이라고 하니, 놀라울 뿐이다.


기형도 문학관의 ‘상설전시실’

▲ 기형도 문학관의 ‘상설전시실’


흰색과 파란색으로 꾸며진 ‘상설전시실’에 발걸음이 멈춰진다. ‘청춘’을 상징하는 그를 형상화한 공간을 바라보며, 생동하는 청춘을 느껴본다. ‘상설전시실’은 시인의 생애와 문학적 배경(유년의 윗목, 은백양의 숲, 저녁 정거장), 테마 공간(안개의 강, 빈집, 우리 곁의 시)으로 구성 돼 있으며, 시인의 가족이 기증한 유품 100점이 전시돼 있어 눈길을 끈다. 


시인의 가족이 기증한 유품1시인의 가족이 기증한 유품2

▲ 시인의 가족이 기증한 유품


‘기형도 문학관’은 시인 기형도에 대한 특별한 이야기들을 우리에게 전해준다. 그 이야기들이 지루하지 않고, 흥미롭다. 시인의 유년기를 이야기하는 공간인 ‘유년의 윗목’. ‘왜 따뜻한 아랫목이 아닌, 윗목이었을까’라는 질문은 이윽고 쉽게 답을 찾기에 이른다. 뇌졸중으로 쓰러진 아버지와 홀로 가족들의 생계를 책임지기 위해 시장으로 향했던 어머니. 공장에 다니며 고된 삶을 경험하고, 불의의 사고로 생을 달리한 누나까지. 어린 나이에 경험한 지독한 가난과 죽음, 상처와 아픔은 그의 작품 곳곳에 새겨있다. 열무 삼십 단을 머리에 인 엄마에게서도, 자욱이 안개가 낀 ‘샛강’에서도 비극적인 정서는 우리의 감정 위로 떠오른다. 


유년의 윗목1유년의 윗목2

▲ 유년의 윗목


그러한 슬픔이 전해지는 또 다른 공간이 바로, ‘안개의 강’이다. 새벽안개를 건너는 듯 타이포그래피와 몽환적인 영상이 담긴 ‘안개의 강’은 시인이 자주 걷던 ‘안양천’을 떠오르게 한다. 늘 자욱한 안개로 덮여 있던 ‘안양천’과 근처 공장에 출근하는 여공들을 바라보던 그의 시선은 산업화의 비극적인 단면을 지적한다.


안개의 강

▲ 안개의 강


슬픔이 켜켜이 쌓인 유년기를 보낸 시인에게 ‘시’는 또 다른 ‘치유’이자 ‘벗’이었을지도 모른다. ‘시’를 좋아하던 소년은 문학청년이 되어 보다 적극적인 작품 활동을 펼쳐나갔고,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시 <안개>가 당선되기에 이른다. 이후, 중앙일보 기자가 된 그는 ‘시운동’ 동인을 비롯, 많은 선후배들과 적극적인 교류를 하며, 그토록 꿈꿔오던 ‘문학과지성사 시인선’의 ‘시집’ 출간을 제의 받는다. 기쁜 마음으로 ‘출간’을 준비하던 1989년 3월 7일 새벽, 그는 종로 파고다 극장 앞에서 숨진 채 발견된다. 사인(死因)은 ‘뇌졸중’이었다.


치열한 삶을 살았던 시인을 기억하는 공간, ‘은백양의 숲’

▲ 치열한 삶을 살았던 시인을 기억하는 공간, ‘은백양의 숲’


짧고도 찬란한 생을 보낸 시인에게, ‘시’는 곧 ‘청춘’이자, ‘삶’ 그 자체였다. 뜨거웠던 시인의 ‘청춘’과 시를 향한 ‘열정’은 친구들의 손을 거쳐 발간된 유고시집 『입 속의 검은 잎』 안에서 영원히 존재하고 있다. 그의 청춘이 담긴 『입 속의 검은 잎』은 ‘문학과지성사-시인선’ 중 가장 많은 판매 부수를 기록하며, 오랜 시간동안 사랑받고 있다. 


‘빈집’1‘빈집’2

▲ ‘빈집’


많은 작품 중에서도 시인의 대표작으로 언급되는 <빈집>은 특별한 공간으로 존재한다. 상처와 절망, 이별의 아픔을 봉인하는 장소인 ‘빈집’은 떠나는 자의 외로움과 막막함이 담겨있다. 시인 기형도의 <빈집>을 형상화한 ‘빈집’은 어둡고 좁은 방에 놓인 영상을 통해, 시인의 감성을 헤아릴 수 있게 한다. 영화감독 이수정이 <빈집>을 형상화한 영상은 시인 기형도와 그의 시 <빈집>을 오롯이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는 공간으로 남아있다. 


‘시인들, 기형도를 읽다’와 ‘필사’ 체험 공간1‘시인들, 기형도를 읽다’와 ‘필사’ 체험 공간2

▲ ‘시인들, 기형도를 읽다’와 ‘필사’ 체험 공간


한편, 시인 기형도의 작품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도 돋보인다. 후배 시인들이 낭송한 ‘시인들, 기형도를 읽다’와 ‘필사 체험’ 공간은 기형도 작품을 감상하는 또 다른 즐거움을 제공한다.

여기에 누구나 시를 읽고,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공간인 북카페와 도서실(2층), 강당 및 창작 체험실(3층) 등 ‘기형도 문학관’에서는 그의 작품 뿐 만아니라, 누구나 ‘시’를 읽고 즐길 수 있는 사랑방으로서 시민들과 함께한다.


북카페

▲ 북카페


시인 기형도에 대해, 문학평론가 오생근은 “…삶의 어둠과 영원한 청춘의 죽음. 20대 푸른 나이에 삶의 종지부를 찍은 시인은 비록 그의 삶은 소멸되었을지라도 젊은 독자들의 영혼 속에 영원히 젊은 모습으로 각인되어 살아있게 된 것이다.”라고 평했다. 그리고 오늘, 시인 기형도를 일컬어 ‘영원한 청춘’이라 일컬었던 그 의미를 이해하게 됐다. ‘기형도 문학관’ 곳곳에 존재한 시를 향한 뜨거웠던 그의 ‘청춘’과 만나면서부터 말이다.


기형도 문학관을 찾은 시민의 메시지1기형도 문학관을 찾은 시민의 메시지2

▲ 기형도 문학관을 찾은 시민의 메시지


겨울의 끝자락에서 만난 시인 ‘기형도’. 그리고 우울과 아픔으로 상징됐던 그를 헤아릴 수 있는 공간인 ‘기형도 문학관’. 시인 기형도는 떠났지만, 그가 기록했던 뜨겁고 찬란한 ‘청춘의 기록’들은 우리들의 마음속에서 영원히 기억될 것이다.




사진= 한초아 

-------------------------

* 공간소개 

주소 : 경기도 광명시 오리로 268 '기형도 문학관'

관람시간 : 화~일요일 오전 9시~오후 6시(3월~10월) / 오전 9시~오후 5시(11월~2월)

관람료 : 무료

 02) 2621-8860


*관련링크

홈페이지 : http://www.kihyungdo.co.kr/


장소 정보

  • 경기
  • 광명
  • 소하동
  • 기형도문학관
  • 엄마걱정
  • 기형도
한초아
인문쟁이 한초아

[인문쟁이 3기]


20여년을 대전에서 살았지만, 그럼에도 ‘대전’에 대해 알고 싶은 것이 많은 청춘(靑春) ‘한초아’이다. 바람과 햇살이 어우러진 산책, 꽃과 시와 별, 아날로그를 좋아하고, 행간의 여유를 즐긴다. 신문이나 책 속 좋은 문장을 수집하는 자칭 ‘문장수집가’이기도 하다. 누구보다 뜨거운 ‘YOLO'의 삶을 추구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인문쟁이’를 통해, 찰나의 순간을 성실히 기록할 생각이다. 윤동주 시인의 손을 잡고, 가장 빛나는 별을 헤아리고 싶다.

댓글(0)

0 / 500 Byte

공공누리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보유한 '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단, 디자인 작품(이미지, 사진 등)의 경우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사오니 문의 후 이용 부탁드립니다.

관련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