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달의 답변 -
김원
2023-01-20- 이달의 답변 -
1988년 집권한 군부 출신인 노태우 집권 이후, 비로소 민간인이 집권을 한 김영삼 정권 시기에도 문제는 간단하지 않았다. 1990년 과거 민정당이란 군부 권위주의 세력과 연합인 동시에 반호남연합이란 지역주의에 기초한 정치세력이던 민주계 집권 엘리트의 ...
- 이달의 질문 -
김정한
2023-01-19- 이달의 질문 -
사적인 복수나 정치적 보복이 아니라, 진정한 애도를 수행할 수 있는 조건을 마련하려는 방식이 과거사 정리(settlement)이다. 흔히 ‘과거사 청산’이라고도 하지만, ‘청산’이란 용어는 마치 과거 역사의 오류를 완전히 깨끗하게 씻어낼 수 있다는 어감을 ...
- 이달의 답변 -
유준
2022-12-16- 이달의 답변 -
표절이라는 단어 자체를 들여다본다. 표절에 해당하는 영어 plagiarism은 라틴어 plágĭum에서 온 말로 ‘납치’, ‘유괴’와 같은 뜻이 있다. 특히 이 단어가 자유인을 노예로 매매하는 행위를 일컫는데 쓰였다는 점은 우리의 흥미를 끈다. 이에 의할 때 표...
- 이달의 질문 -
이순원
2022-12-15- 이달의 질문 -
돌아보면 이때 한국문학이 표절에 대해 보다 분명한 선과 엄격한 잣대를 들이댔어야 했는데, 저런 대형 표절 의혹들이 유야무야 끝난 다음 이후 간간이 불거져 나온 기성 작가 작품들의 표절의혹들이 저기에 그냥 다 묻혀가는 식이었다. 표절 의혹 작가 스스...
- 이달의 답변 -
박철현
2022-11-18- 이달의 답변 -
최근, 미-중 패권 경쟁 심화와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을 계기로, “신냉전”이란 말이 유행처럼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거 냉전 시기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양 진영은 대립하면서도 핵무기에 의한 ‘공포의 균형(balance of terror)’을 통해서 전쟁...
- 이달의 질문 -
이승원
2022-11-17- 이달의 질문 -
지난 수년간 보여진 미국과 중국 사이 점차 첨예하고 강력해지는 세계 경제 패권 쟁탈전, 그리고 올해 가장 커다란 전 세계적인 사건인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이에 따른 글로벌 공급 체계의 붕괴는 복잡한 지난 40여 년간 지속되고 확장되어 온 신자유...
- 이달의 답변 -
이문영
2022-10-13- 이달의 답변 -
우리나라는 근대학문을 일제강점기에 접했습니다. 역사학도 마찬가지였죠. 역사학은 우리나라에도 옛날부터 있었던 것 아닌가요? 물론 옛날부터 있었고 그 수준도 높았습니다. 우리나라의 기록문화는 세계에 자랑할만한 독보적이죠. 하지만 ‘학문’으로서의 ...
- 이달의 질문 -
박준현
2022-10-11- 이달의 질문 -
유사역사학을 추종하는 사람 또는 집단에서는 주로 우리나라 고대사 문제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다루면서 원래 우리나라는 초고대 문명을 이룩한 위대한 나라이고 실제로는 광활한 영토를 가졌던 민족이라고 주장하고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또한.... 우리는...
- 이달의 답변 -
김완구
2022-09-15- 이달의 답변 -
과학자들을 비롯한 여러 사람들의 이런 우려에도 불구하고 기후위기에 대한 많은 주장들이 거짓이라고 믿고 있는 사람들이 일부 있기도 합니다. 이른바 기후 회의론자들(Climate sceptics)입니다. 그리고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 협약국 과학자들이 만들...
- 이달의 질문 -
김민수
2022-09-14- 이달의 질문 -
20세기 중반부터 전지구적 기후변화의 위험에 대한 전문가들의 진단과 그 위험에 따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유엔 등 국제기구 차원의 협약과 각 국가의 정책 등이 제시된 바 있습니다. 지난해 2021년 가을에는 영국 글래스코에서 ‘제26차 유엔 기후변화...
- 이달의 답변 -
남명진
2022-08-17- 이달의 답변 -
그렇다면 사람들은 과연 낙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요. 낙태의 시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태아의 생명보다 산모의 권리를 보다 더 중요시 여기는 경우, 그리고 그 반대로 태아의 생명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우입니다. 우선...
- 이달의 질문 -
구인회
2022-08-16- 이달의 질문 -
생명을 존중하고 보호해야 한다는 데는 이견이 있을 수 없을 것입니다. 그런데 불행히도 현실적 문제들 때문에 낙태를 허용할 수밖에 없다는 타협적 입장을 취하는 학자들이 있습니다. 낙태 찬성론자들이 제시하는 대표적 근거를 검토해보면.... 1) 미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