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인문360인문360

인문360

인문360˚

나눔에세이 다섯 번째 : <엄마, 우리 같이 나이 들어가는 처지잖아>

2021-11-11

 

안녕하세요 인생나눔교실입니다.​

 

인생나눔교실의 나눔에세이 다섯 번째 시간.


'대중문화로 보는

세대 갈등과 공존'을 주제로 한

박초롱 작가의 에세이를 소개합니다.


나눔에세이 다섯 번째 부모 자식 관계도 서로에 대하 이해하려는 '노력'과 '예의'가 필요한 '관계' 엄마, 우리 같이 나이 들어가는 처지잖아 매거진 딴짓 박초롱 작가 편 인생나눔교실


"부모 자식 관계도 서로에 대해 이해하려는 '노력'과 '예의'가 필요한 '관계'"

<엄마, 우리 같이 나이 들어가는 처지잖아.>


박초롱 작가

자신만의 소소한 기쁨을 누리는 사람들을

응원하기 위해 만들어진 매거진 <딴짓> 대표 / 출판 편집인



"엄마, 우리 같이 나이 들어가는 처지잖아."

 

엄마 나이 62살, 내 나이 35살. 이십 년 전이었으면 ‘공부하는 딸과 젊은 엄마’로 보였을 것이고, 십 년만 전이었더라도 ‘사회생활 막 시작한 딸과 중년의 엄마’로 보였을 것이다. 가끔 늘어가는 엄마의 흰머리와 반질거리는 내 피부를 보면서, 내가 엄마의 젊음을 빨아먹고 성장하는 건 아닌가 하는 생각도 했다. 그러나 이제는 안다. 우리가 같이 늙어가는 나이에 접어들었다는걸. 엄마는 내게 뼈 붙는 데 좋다는 국을 보내왔고(나는 최근 무릎 수술을 했다.), 나는 엄마에게 관절에 좋다는 영양제를 보냈다. 삼십 대 중반을 넘어가며, 엄마와 나의 관계도 많이 변했다. 

 


'꼰대'들의 유쾌한 인생찬가 tvN10주년 특별기획 디어마이프렌드

<출처 : tvN 공식 홈페이지>



드라마 <디어 마이 프렌즈>를 보며 나는 화면을 손가락 하며, 옆 사람을 착착 때리며 “내 말이, 저 말이야!”를 반복했다. <디어 마이 프렌즈>는 황혼의 삶을 사는 인물들의 이야기를 그중 한 명인 장난희(고두심)의 딸 박완(고현정)의 시선에서 그린 드라마다. 37살의 박완은 엄마의 삶에 관심도 없고, 알고 싶지도 않다. 그러다 엄마의 동문회에 따라가면서 엄마의 친구들과도 깊게 얽힌다. 죽어서 길 위에서 죽는다며 세계 일주를 꿈꾸는 할머니, 한때 모델로 잘 나갔던 쿨내나는 할머니, 칠십대에도 연애를 하겠다는 할아버지들 사이에서 “진짜 왜 저래?”를 반복하며 산다. 세대 차이가 나는만큼 화나는 일도 적지 않다. 내가 엄마, 아빠랑 다닐 때 자주 하는 말이다. 



tvN 10주년 특별기획 디어마이프렌즈

<출처 : tvN 공식 홈페이지>



“진짜, 왜 저래?”

 

부모 세대와 같이 늙어가며 “진짜, 왜 저래?”를 말하는 일이라면 이 책도 생각난다. 곽민지 작가의 <걸어서 환장 속으로>다. 패키지여행만 떠나본 환갑의 부모님과 비혼의 30대 딸이 떠난 해외 자유여행 이야기다. 착한 딸이라는 말에 어깨 승천하며 떠나기엔 책 제목대로 ‘환장 속으로’ 들어가야 하는 상황이 너무 많다. 여권을 잃어버리고, 사진 찍는다고 세월아 네월아 걷는다. 아빠와 둘이 제주에서 배낭여행을 했던 기억과(게스트하우스에도 잘 잔다고 큰소리치던 아빠, 밤새 뒤척거리는 거 다 봤다.) 엄마와 둘이 지리산 종주를 했던 추억이(엄마 체력이 나보다 좋다는 걸 그때 알았다.) 떠오른다. 



걸어서 환장 속으로 엄마아빠, 나만 믿고 따라와요 세 식구가 떠나는 삼인사각 스페인 자유여행

<출처 : 네이버 책>

 

그래도 <디어 마이 프렌즈>가 그랬던 것처럼 <걸어서 환장 속으로>도 훈훈하게 마무리된다. 투닥거리고, 붙어 있고, 다시 화해하는 과정을 반복하며 서로에 대해 더 잘 알게 되니까. 부대껴봐야 서로를 잘 이해하게 되니까. 싸우지 않는다고 해서 관계가 좋은 게 아니라, 싸우고 화해하기를 반복하는 게 오히려 더 깊은 관계에 가까울 수도 있으니까.

 

부모와 자식. 우리는 서로에 대해 얼마나 잘 알까? 나는 십 대 이후로 방문을 닫고 지냈고, 이십 대 후반 독립하기 직전까지 부모님과 별로 대화를 하지 않았다. 거의 하우스메이트나 다름없었던 십 년보다, 조금 떨어진 거리에서 투닥거리며 사는 지금의 관계가 더 친밀하게 느껴진다. 나이가 들고서야, 부모 자식 관계도 서로에 대해 이해하려는 ‘노력’과 ‘예의’가 필요한 ‘관계’라는 걸 알게 된다. 

 

나이 들며 맺는 부모 자식 관계. 거기서 이전과 다른 게 있다면 아마 비혼을 고수하는 자식과 부모가 함께 늙어가는 풍경을 더 자주 볼 수 있다는 게 아닐까?

 

할머니 말마따나 ‘순리대로’ 산다면 엄마가 내게 젊음을 먹여가며 늙어갔던 것처럼 나도 내 자식에게 허리 건강을 내어주며 나이 들어야 할 것 같다. 그러나 엄마의 젊음을 쪽쪽 빨아먹고 자란 나는 그게 얼마나 고된 일인지 누구보다 잘 알기에 비혼을 고수한다. 돌봐야 할 자식이 없는 삼십대의 나는 대신같이 늙어가는 엄마를 돌보게 된다. 친구처럼. 그래서일까. 나는 자식의 자식, 그 자식의 자식으로 길게 이어지는 정상가족에 대한 드라마보다 나이 든 엄마와 결혼하지 않는 자식이 투닥거리며 지내는 이야기가 좋다.


 




인생나눔교실 함께 나누는 인생, 함께 누리는 행복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보유한 '나눔에세이 다섯 번째 : <엄마, 우리 같이 나이 들어가는 처지잖아>' 저작물은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사오니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 문의 후 이용 부탁드립니다. COPYRIGHT (C)2015 Arts council Korea. ALL RIGHT RESERVED.

 

■  출처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인생나눔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arko2010

■  제공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의  지역협력부 02-739-3946

 

인생나눔 인생나눔교실 나눔에세이 박초롱작가 박초롱 딴짓매거진 딴짓출판사 디어마이프렌즈 걸어서환장속으로 에세이 세대 공감 소통
인생나눔교실로고
인생나눔교실

인생나눔교실 http://blog.naver.com/arko2010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주관하는 인생나눔교실은 급격한 변화의 흐름 속에서 다양한 갈등을 겪고 있는 사회구성원들이 상호 공통의 상식과 문화를 만들어가며 다시 공동체 안에 기댈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세부 사업│찾아가는 인생나눔교실, 삼삼오오 인생나눔활동, 인생삼모작 인생나눔학교, 함께하는 인생식탁

댓글(0)

0 / 500 Byte

목록

  • 이전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