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TBC ‘차이나는 클라스’ ㆍ tvN ‘책 읽어주는 나의 서재’ 출연으로 화제를 모은 서울대 수의학과 장구 교수의 동물과 과학 특강
인슐린 발견부터 반려동물 복제까지, 과학자의 눈으로 연구하고
상상임신 하는 고양이부터 수혈하는 개까지, 수의사의 손으로 돌본
우리가 몰랐던 경이롭고 감동적인 동물들의 이야기
당뇨병 치료제 개발을 도운 개, 인간에게 각막을 내어준 돼지, 시험관 아기 탄생의 밑거름이 된 쥐, 특정 질병에 안 걸리는 소… 세상을 바꾼 과학의 발달 뒤에는 연구실의 동물들이 있다. 한편 인간과 교감하며 공존하는 반려동물이 늘면서 상상임신 한 고양이, 응급치료가 필요한 강아지 환자들이 동물병원 진료실을 찾고 있다. 동물과 과학, 그리고 인간은 어떤 길을 걸어왔으며, 어떤 길로 나아가야 할까? 서울대 수의학과 장구 교수가 과학자의 눈으로 연구하고 수의사의 손으로 돌본 동물들의 이야기. 문학과 예술 속 위안을 주는 동물을 넘어, 우리가 몰랐던 과학 속 동물의 자리 그리고 동물과 인간의 공존을 위한 제언.
『동물을 돌보고 연구합니다』 책소개/출처: 교보문고
서울대 수의학과 장구 교수의 동물 이야기. 실험 동물, 질병 저항성이 있는 슈퍼동물과 복제, 배양으로 만든 고기, 물고기와 말, 소의 출산 이야기, 반려견 이야기, 동물의 수혈 이야기 등이 흥미롭게 펼쳐진다. 각각의 동물들의 이야기도 흥미롭지만 그에 수반되는 과학적 사실과 관련된 최신 지식도 친절하게 알려주는 교양과학서로서 손상이 없다. 무엇보다 미려한 편집과 술술 읽어나갈 수 있는 쉽고 재미있는 이야기의 모음이라는 점이 매력적이다. 우리가 동물을 돌보고 연구하는 이유는 수많은 영역에서 동물의 삶은 인류의 삶과 교차되며, 이들이 없는 인류의 삶은 상상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수의학자는 이러한 동물들을 돌보는 사람이며 인류를 위해 식량으로, 또는 실험 대상으로 희생되기도 하는 것이 동물의 운명이지만 이를 바라보는 수의학자의 시선은 따뜻하기 그지 없다.
수의사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교수. 서울대학교 수의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시험관 송아지 연구를 통해 생명 탄생의 신비로움에 흥미를 느껴 동물의 생식세포를 연구한 성과를 〈네이처Nature〉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 등의 학술지에 100여 편의 논문으로 발표했다. 2015년 대한수의학회 젊은 과학자상, 2016년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바이오노트 올해의 논문상, 2019년 대한수의학회 학술연구 대상을 수상했다. 동물의 생식세포를 활용한 질병 연구 활동에 매진하고 있으며, 강의와 더불어 진료도 꾸준히 하고 있다.15년 이상 동물의 임신과 관련된 연구와 진료를 해오면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다수의 인문학 강의를 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JTBC ‘차이나는 클라스’, tvN ‘책 읽어주는 나의 서재’에 출연해 동물과 과학의 흥미로운 이야기를 전했고, 서울대학교에서 주관하는 평생교육원, 식품영양 CEO 과정, 푸드테크 최고경영자 최고책임자 과정에서 강의했다. 지은 책으로 반려동물 보호자를 위한 《멍이가 임신을 했어요》 《냥이가 임신을 했어요》, 저출산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 《아이가 사라지는 세상》(공저)이 있다.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이 보유한 '동물을 돌보고 연구합니다'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단, 디자인 작품(이미지, 사진 등)의 경우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사오니 문의 후 이용 부탁드립니다.
동물을 돌보고 연구합니다
경의롭고 감동적인 동물과 과학 연구 노트
2022-05-09장구 지음/김영사/2022년/15,800원
JTBC ‘차이나는 클라스’ ㆍ tvN ‘책 읽어주는 나의 서재’ 출연으로 화제를 모은
서울대 수의학과 장구 교수의 동물과 과학 특강
인슐린 발견부터 반려동물 복제까지, 과학자의 눈으로 연구하고
상상임신 하는 고양이부터 수혈하는 개까지, 수의사의 손으로 돌본
우리가 몰랐던 경이롭고 감동적인 동물들의 이야기
당뇨병 치료제 개발을 도운 개, 인간에게 각막을 내어준 돼지, 시험관 아기 탄생의 밑거름이 된 쥐, 특정 질병에 안 걸리는 소… 세상을 바꾼 과학의 발달 뒤에는 연구실의 동물들이 있다. 한편 인간과 교감하며 공존하는 반려동물이 늘면서 상상임신 한 고양이, 응급치료가 필요한 강아지 환자들이 동물병원 진료실을 찾고 있다. 동물과 과학, 그리고 인간은 어떤 길을 걸어왔으며, 어떤 길로 나아가야 할까? 서울대 수의학과 장구 교수가 과학자의 눈으로 연구하고 수의사의 손으로 돌본 동물들의 이야기. 문학과 예술 속 위안을 주는 동물을 넘어, 우리가 몰랐던 과학 속 동물의 자리 그리고 동물과 인간의 공존을 위한 제언.
『동물을 돌보고 연구합니다』 책소개/출처: 교보문고
서울대 수의학과 장구 교수의 동물 이야기. 실험 동물, 질병 저항성이 있는 슈퍼동물과 복제, 배양으로 만든 고기, 물고기와 말, 소의 출산 이야기, 반려견 이야기, 동물의 수혈 이야기 등이 흥미롭게 펼쳐진다. 각각의 동물들의 이야기도 흥미롭지만 그에 수반되는 과학적 사실과 관련된 최신 지식도 친절하게 알려주는 교양과학서로서 손상이 없다. 무엇보다 미려한 편집과 술술 읽어나갈 수 있는 쉽고 재미있는 이야기의 모음이라는 점이 매력적이다. 우리가 동물을 돌보고 연구하는 이유는 수많은 영역에서 동물의 삶은 인류의 삶과 교차되며, 이들이 없는 인류의 삶은 상상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수의학자는 이러한 동물들을 돌보는 사람이며 인류를 위해 식량으로, 또는 실험 대상으로 희생되기도 하는 것이 동물의 운명이지만 이를 바라보는 수의학자의 시선은 따뜻하기 그지 없다.
▶ 추천사: 권복규, 이화여대 의학교육학교실 교수
■ 출처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책나눔위원회 2022 <5월의 추천도서>
■ URL https://www.readin.or.kr/home/bbs/20049/bbsPostList.do#none
수의사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교수. 서울대학교 수의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시험관 송아지 연구를 통해 생명 탄생의 신비로움에 흥미를 느껴 동물의 생식세포를 연구한 성과를 〈네이처Nature〉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 등의 학술지에 100여 편의 논문으로 발표했다. 2015년 대한수의학회 젊은 과학자상, 2016년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바이오노트 올해의 논문상, 2019년 대한수의학회 학술연구 대상을 수상했다. 동물의 생식세포를 활용한 질병 연구 활동에 매진하고 있으며, 강의와 더불어 진료도 꾸준히 하고 있다.15년 이상 동물의 임신과 관련된 연구와 진료를 해오면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다수의 인문학 강의를 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JTBC ‘차이나는 클라스’, tvN ‘책 읽어주는 나의 서재’에 출연해 동물과 과학의 흥미로운 이야기를 전했고, 서울대학교에서 주관하는 평생교육원, 식품영양 CEO 과정, 푸드테크 최고경영자 최고책임자 과정에서 강의했다. 지은 책으로 반려동물 보호자를 위한 《멍이가 임신을 했어요》 《냥이가 임신을 했어요》, 저출산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 《아이가 사라지는 세상》(공저)이 있다.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이 보유한 '동물을 돌보고 연구합니다'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단, 디자인 작품(이미지, 사진 등)의 경우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사오니 문의 후 이용 부탁드립니다.
댓글(0)
관련 콘텐츠
오늘인문 > 칼럼 [인문, 깜짝 퀴즈] 소설가 김경욱 전집을 읽게 되지는 않았다. 노려보는 시선만으로 쇠를 구부리는 아이. 세상에서 가장 빠르고 정확한 주판을 머릿속에 담고 있는 아이. 동물들과 대화하는 아이. 비범한 재능을 뽐내는 족족 뽑혔다면 자조 섞인 농담대로 우리는 서커스단이 되었을지도 모른다. 그래서 더 궁금했지만 답을
오늘인문 > 칼럼 [인문, 깜짝 퀴즈] 소설가 김동식 일상속에서 어떤 망상을 해본 적이 있으신가요 - 김동식 단편소설 『회색인간』 중에서 - ㅇ 출 제 자 : 작가 김동식 ㅇ 응모기간 : 2022년 5월 16일(월)~2022년 6월 14일(화) ㅇ 응모방법 : 본문 댓글 및 인문360 SNS 댓글 참여 ㅇ 당첨자 선물: 김동식의 단편소설『회색인간』 및 소정의
오늘인문 > 칼럼 [인문, 깜짝 퀴즈] 소설가 김보영 “하루만큼, 한 해만큼 당신에게 더 어울리는 사람이 될 거야” - 김보영 SF 장편소설 『당신을 기다리고 있어』 중에서 - ㅇ 출 제 자 : 소설가 김보영 ㅇ 응모기간 : 2022년 3월 16일(수) ~ 2022년 4월 15일(금) ㅇ 응모방법 : 본문 댓글 및 인문360 SNS 댓글 참여 ㅇ 당첨자 선물: 김
오늘인문 > 칼럼 차별과 혐오의 언어를 걷어내는 일은 ‘검열’이 아닌 ‘검토’ 퇴고 과정에서 행해지는 띄어쓰기나 맞춤법, 혹은 비문 등을 점검하는 일을 두고 ‘검열’이라는 단어가 떠오를까요 보통 ‘검열’이 아니라 ‘검토’라고 생각합니다. 그 이유는 퇴고의 과정이 더 나은 문장을 만들기 위한 일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검토’에 들어가는 수
목록
사신을 따라 청나라에 가다
손성욱
마음에 없는 소리
김지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