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인문360인문360

인문360

인문360˚

제5회「인간과 기술」포럼 개최 안내 (2021.10.21.(목) 14:00 - 16:00)

 

제5회 인간과 기술 포럼 기술과 사회 더 나은 사회를 위한 기술의 가능성과 조건 2021.10.21.(목) 14:00-16:00 YouTube  인문360 프로그램 사회 김승수 똑똑도서관 관장/인하대학교 겸임교수 1부 | 디지털 전환이 민주주의에 미치는 영향 주제 발표  디지털 시대, 더 나은 민주주의는 어떻게 가능한가? 김유향 | 국회입법조사처 사회문화조사심의관 토론  토론과 합의를 이루기 위한 기술과 사회의 과제 송경재 | 상지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송근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경제사회연구실 박사후연구원 2부 | 새로운 공론장을 모색하는 실험과 시도 주제 발표  성찰과 소통으로 사회의 활력을 높이는 시도 정승구 | 사회적협동조합 빠띠 이사 토론  새로운 시도의 사회적 의미와 효과적 수용 방안 김경화 | 미디어 인류학자 하선영 | 중앙일보 기자 * 주제 발표 및 토론에 따른 질의응답도 함께 진행됩니다. 문의 인간과 기술 포럼 02-515-0360 inmunforum@gmail.com · 본 포럼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무관중으로 진행되며, 유튜브 채널 <인문360>에서 생중계됩니다. · 사전 참가 신청을 하신 분들께는 포럼 당일 생중계 URL을 문자로 안내해 드리며, 우측 QR코드를 통해서도 포럼 당일 실시간 참여가 가능합니다. · 사전 신청자 중 질문을 남겨 주신 분들과 포럼 시청 후 만족도 조사에 참여하신 분들을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선물 증정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제5회 인간과 기술 포럼 기술과 사회 더 나은 사회를 위한 기술의 가능성과 조건 2021.10.21.(목) 14:00-16:00 YouTube  인문360 「인간과 기술」 포럼은 4차 산업혁명 시대 진입에 따라, 인본주의에 기반한 첨단기술의 발전 방향과 사회·문화·일상의 변화에 대한 인문학적 해법을 모색하고자 기획되었습니다. 기술은 인간에게 더 편리한 생활 방식과 소통 방식을 제공해왔습니다. 특히 인터넷은 더 많은 소통을 가능하게 해 기존 민주주의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습니다. 그러나, 현재 우리는 탈진실과 여론의 양극화 등 소음에 가깝게 범람하는 정보 속에서 소통과 합의가 아닌 대결과 혼란의 현실을 마주하고 있습니다. 메타버스, 빅데이터, 블록체인, 플랫폼 등 다양한 아이디어가 제기되는 흐름 속에서 현재 민주주의가 필요로 하는 것은 무엇인지, 기술을 활용하는 데 있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것은 무엇인지 파악해 보고자 합니다. 더 나은 사회를 위해 기술을 활용하는 데 있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조건은 무엇일까요? 민주주의의 핵심적 역할을 하는 공론장에서 미디어와 플랫폼을 활용한 사례를 통해 사회의 소통과 합의를 높이기 위한 해법을 「인간과 기술」 포럼에서 만나보세요. 개요 주제  기술과 사회 | 더 나은 사회를 위한 기술의 가능성과 조건 일시  2021.10.21.(목) 14:00-16:00 참여  온라인 사전 신청 및 실시간 시청 가능 (우측 QR코드 접속) youTube  인문360 문의  인간과 기술 포럼 02-515-0360 / inmunforum@gmail.com  본 포럼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무관중으로 진행되며, 유튜브 채널 <인문360>에서 생중계됩니다.  사전 참가 신청을 하신 분들께는 포럼 당일 생중계 URL을 문자로 안내해 드리며, 상기 QR코드를 통해서도 포럼 당일 실시간 참여가 가능합니다. · 사전 신청자 중 질문을 남겨 주신 분들과 포럼 시청 후 만족도 조사에 참여하신 분들을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선물 증정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프로그램 사회 김승수 대학교 겸임교수 기술과 사회|더 나은 사회를 위한 기술의 가능성과 조건 1부 - 디지털 전환이 민주주의에 미치는 영향 주제 발표  디지털 시대, 더 나은 민주주의는 어떻게 가능한가? 김유향 | 국회입법조사처 사회문화조사심의관 토론  토론과 합의를 이루기 위한 기술과 사회의 과제 송경재 | 상지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송근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경제사회연구실 박사후연구원 2부 - 새로운 공론장을 모색하는 실험과 시도 주제 발표  성찰과 소통으로 사회의 활력을 높이는 시도 정승구 | 사회적협동조합 빠띠 이사 토론  새로운 시도의 사회적 의미와 효과적 수용 방안 김경화 | 미디어 인류학자 하선영 | 중앙일보 기자 * 주제 발표 및 토론에 따른 질의응답도 함께 진행됩니다. 연사 추천도서 김유향 - 위험한 민주주의 | 야스차 뭉크 송경재 - 쿠데타, 대재앙, 정보권력 | 데이비드 런시먼 송근혜 - 테크 심리학 | 루크 페르난데스, 수전 J. 맷 정승구 - 데이터, 민주주의를 조작하다 | 크리스 샤퍼 김경화 - 모빌리티 정의 | 미미 셸러 하선영 - 디지털의 배신 | 이광석

 사전 신청 페이지 바로가기 

 

HTTP 500 Error

일시적인 장애로 서비스 이용이 지연되고 있습니다.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